그래픽(사진) 파일 포맷 알아보기
우리가 컴퓨터로 볼 수 있는 그림 사진 등을 그래픽 파일이리고 부릅니다.
그래픽 파일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
① 비트맵 형식 파일
비트맵 형식의 파일이란 그림이 여러 색의 점(pixel)로 이루어 진 파일입니다.
파일확장자로는 jpg, gif, bmp, tif, png 등이 있습니다.
사진과 같은 자연스러움을 표현할 수 있으나
확대를 하면 작은 점이 확대되기 때문에 그림이 깨어지게 되지요.
일반적으로 보는 사진이나 그림 파일들이 이려한 종류지요.
이러한 것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으로는
포토샵(Photoshop), 페이트샵프로(Paint Shop Pro), 페인터(Painter),
그림판 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② 벡터 형식 파일
벡터 형식의 파일이란 그림이 수치화 되어 저장된 파일입니다.
파일 확장자로는 ai, wmf, eps, cdr 등이 있습니다.
수치화 되었기 때문에 확대를 해도 그림이 깨어지는 법이 없으나
사진처럼 자연스러운 모습을 표현 할 수는 없습니다.
편집 프로그램으로는 일러스트레이터(Illustrator), 코렐 드로우(Corel Draw), 플래시(Flash)등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
다음으로 주로 사용하는 그래픽 파일 확장자명에 따른 파일의 주요 특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자세한 정보는 각 링크별 참조된 주소를 살펴 봐 주세요. 벡터 형식 파일의 경우에는 차이점이 있기는 한데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네요. 그냥 어떤 프로그램용 파일이다 정도만 아셔도 될 것 같습니다.
- JPG(jpeg, jpe) :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파일 포맷으로 이미지가 손실 압축된 것입니다. 다시 말해 원본에 비해 파일 용량은 줄어든 대신 손실 정도에 따라 그림의 품질이 떨어집니다. (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JPEG 참조)
- GIF : jpg 처럼 많이 이용하는 파일 포맷으로 비손실 압축이나 최대 256색 까지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표현할 수 있는 색이 한계가 있다보니 색 경계등이 자연스럽지 못한 경향이 있으나 큰 차이는 없고, 용량이 적으며, 배경이 투명한 파일, 움직이는 그림 등을 만들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. (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GIF 참조)
- PNG : gif의 최대 단점인 256색 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파일 포맷으로 비손실 압축이며 트루 컬러의 색을 낼 수 있고 배경이 투명한 파일도 만들 수 있습니다. 대신 gif처럼 움직이는 그림은 만들 수 없습니다.(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PNG 참조)
- TIF(tiff) : 비손실 압축으로 원본 파일의 품질은 유지한 채 파일 용량만을 줄인 파일입니다. 그렇지만 당연히 jpg 보다는 크기가 큽니다. 여러 그림 파일이 하나의 tif 파일 안에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. (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TIFF 참조)
- BMP : 비트맵 파일의 약자로 일반적으로는 압축되지 않은 형태입니다. 당연히 용량은 무척 큽니다. 최근에는 RLE 압축이라는 것으로 압축하기도 합니다. (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BMP_%ED%8C%8C%EC%9D%BC_%ED%8F%AC%EB%A7%B7 참조)
- AI :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사용하는 벡터 형식 파일 포맷입니다.
- CDR : 코렐드로우에서 사용하는 벡터 형식 파일 포맷입니다.
- 그 외 wmf 나 eps 은 많은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벡터 형식 파일입니다.